대상항구성 결핍의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1건 조회 8,086회 작성일 17-10-03 15:05본문
대상항구성 결핍의 영향
대상항구성 성취에 실패한 환자는 대상과 온전한 관계를 맺지 못하고 한 부분에 대해서만 관계를 맺는다. 경계선 환자의 대상과 맺는 이러한 관계는 욕구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환자는 대상과의 관계에서 파생된 좌절과 좌절로 인한 양가감정을 지탱할 수 없다. 좌절된 욕구를 견딜만한 능력이 없다. 경계선 환자는 어린아이와 마찬가지로 대상이 물리적으로 사라지면 대상의 정신적인 이미지를 간직하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그는 대상을 잃어버리는 것을 견디지 못하여 실패하게 된다. 그래서 행동화나 정서적인 거리를 지킴으로서 대상의 주의를 끌고자 한다. 치료에서 격리가 일어날 때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경계선 환자의 대상항구성과 대상관계가 심각한 손상을 입은 것은 사실이지만 정신병 환자의 손상은 한층 심각하다. 경계선은 어느 정도의 대상항구성을 지니고 있지만 대상항구성 자체가 취약하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갈망단계로 자주 퇴행하는 반면에 정신병환자는 욕구와 관련된 충족 갈망단계를 넘어서는 관계적 경험을 맺은 경험이 없다는 것이다. 정신병자는 부분적 또는 조각난 상태의 대상만을 경험할 뿐 그 이상의 관계는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고 할 수 있다. 정신병 환자의 대상관계는 단순히 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수준보다 더 원시적이며 대상과의 관계 속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대상과의 용해된 관계와 용해된 관계에서 비롯된 현실감별의 손상은 정신병의 기반이 된다.
대상항구성이 결핍되면 대상에게 매달리게 된다. 대상에의 매달림은 사람의 안정성을 잃게 한다. 그리고 매달림의 관계는 함입작용에 손상을 초래하고 함입작용의 손상을 초래하고 함입작용의 손상은 대상에 대한 강렬한 욕구와 집착을 창출해 낸다. 이러한 종류의 집착은 대상에 대한 공포와 불신을 가지게 한다. 그 이유는 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할 대상이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대신에 보다 더한 집착을 가지게 하는 철회현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정신병의 기본적인 갈등이 되는데 이를 정신병적 대상관계라는 의미에서 욕구-공포 딜레마(Burnham et al, 1969)라고 하기도 한다. 유사한 강한 욕구와 공포가 경계선에서도 나타나는데 경계선의 이러한 현상은 공생에 대한 욕구와 완전히 용해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유기는 실질적인 유기를 포함해서 거절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두려움과 외로움, 내적인 공허함과 차가움 그리고 내적인 죽음에 대한 공포로 느껴진다. 때에 따라서는 이보다 훨씬 강한 공포, 완전한 버려짐 그리고 절멸감을 경험하게 하기도 한다. 강한 공포는 정신병의 욕구-공포 딜레마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반면에 경계선에서는 보다 순화된 형태의 딜레마를 경험하게 한다. 유기 공포는 어머니의 파지를 완전히 함입하는데 실패한 것에 원인한다. 파지의 실패는 공포뿐 아니라 파괴적인 구강기의 원시적 욕구를 강화시킨다. 그리고 나아가서는 원시적인 죄의식을 가지게 한다.
자료: 대한가족상담연구소 부부가족심리상담사 교재 중에서